생각하는것 만으로도 가슴이 두근거렸던, 보고 있어도 보고 싶은 그대였건만 시간이 지난 지금은 언제 그랬냐는 듯 같이 있어도 그저 무덤덤하다. 때론 이게 사랑인지, 정인지 헷갈릴 때도 있다.
사귄 지 시간이 좀 지난 커플이라면 누구나가 느낄 수 있는 감정입니다. 사랑을 호르몬 분비에 의한 화학작용이라 설명하는 이들은 사랑에도 유통기한이 있다고 합니다. 연애 초반에 느끼는 설렘이나 여러 감정의 변화들이 모두 뇌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들의 작용에 의한 것이라는 건데, 그것의 지속기간은 길어야 1년 반 정도라고 합니다. 즉 1년 반 정도가 지나면 화학반응이 끝나기 때문에 그런 감정이 더 이상 느껴지지 않는 건 당연하다는 거죠.
그런데 꼭 설레고 두근거리는 감정만을 사랑이라고 볼 수는 없지 않을까요? 만약 사랑이라는 걸 그런 감정만으로 단정 짓는다면 우리는 해마다 만나던 사람을 갈아치워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감정만을 쫓아 사랑을 한다면 아마 육체적으로 무리가 가서 단명할지도 모릅니다. 생각해 보세요. 계속 심장이 두근거리고 미친놈마냥 기분이 좋았다 나빴다 한다면 사람이 견뎌내겠습니까?
더 이상 떨리지 않는다고 해서 사랑이 끝났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사랑이라는 녀석의 모습이 변할 뿐입니다. 사람이 성장하면서 목소리도 굵어지고 몸에 털도 나고 하며 변하듯 감정도 성장하며 변해갑니다. 초반의 두근거림이 서로의 신뢰 속에 숙성되면서 익숙함과 편안함이라는 감정으로 변한 거라고 생각해 보세요.
더 이상 처음처럼 떨려서 말도 잘 못하고 쿵쾅거리고 그런 건 이제 사라졌지만 대신 이젠 서로를 잘 알기에 더 많이 이해할 수 있고, 더 깊게 속마음을 내보일 수 있습니다. 상대의 작은 표정 변화에도 기분을 알아차리고 배려할 수 있다는 건 한층 더 깊고 진한 사랑입니다.
연애 전반전이 새콤하고 아삭한 새김치였다면, 연애 후반전은 잘 숙성된 묵은지인 것입니다. 새김치만 먹겠다고 묵은지 다 버려버릴 것이 아니라면, 사랑에 있어서도 변해가는 감정과 조금은 달라진 표현방식들을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면서 어떻게 더 맛있게 숙성시킬지를 고민했으면 합니다.
사귄 지 시간이 좀 지난 커플이라면 누구나가 느낄 수 있는 감정입니다. 사랑을 호르몬 분비에 의한 화학작용이라 설명하는 이들은 사랑에도 유통기한이 있다고 합니다. 연애 초반에 느끼는 설렘이나 여러 감정의 변화들이 모두 뇌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들의 작용에 의한 것이라는 건데, 그것의 지속기간은 길어야 1년 반 정도라고 합니다. 즉 1년 반 정도가 지나면 화학반응이 끝나기 때문에 그런 감정이 더 이상 느껴지지 않는 건 당연하다는 거죠.
그런데 꼭 설레고 두근거리는 감정만을 사랑이라고 볼 수는 없지 않을까요? 만약 사랑이라는 걸 그런 감정만으로 단정 짓는다면 우리는 해마다 만나던 사람을 갈아치워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감정만을 쫓아 사랑을 한다면 아마 육체적으로 무리가 가서 단명할지도 모릅니다. 생각해 보세요. 계속 심장이 두근거리고 미친놈마냥 기분이 좋았다 나빴다 한다면 사람이 견뎌내겠습니까?
더 이상 떨리지 않는다고 해서 사랑이 끝났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사랑이라는 녀석의 모습이 변할 뿐입니다. 사람이 성장하면서 목소리도 굵어지고 몸에 털도 나고 하며 변하듯 감정도 성장하며 변해갑니다. 초반의 두근거림이 서로의 신뢰 속에 숙성되면서 익숙함과 편안함이라는 감정으로 변한 거라고 생각해 보세요.
더 이상 처음처럼 떨려서 말도 잘 못하고 쿵쾅거리고 그런 건 이제 사라졌지만 대신 이젠 서로를 잘 알기에 더 많이 이해할 수 있고, 더 깊게 속마음을 내보일 수 있습니다. 상대의 작은 표정 변화에도 기분을 알아차리고 배려할 수 있다는 건 한층 더 깊고 진한 사랑입니다.
연애 전반전이 새콤하고 아삭한 새김치였다면, 연애 후반전은 잘 숙성된 묵은지인 것입니다. 새김치만 먹겠다고 묵은지 다 버려버릴 것이 아니라면, 사랑에 있어서도 변해가는 감정과 조금은 달라진 표현방식들을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면서 어떻게 더 맛있게 숙성시킬지를 고민했으면 합니다.